웃음은 우리 몸에 어떻게 반응을 할까? 그 비밀 속으로 들어가 보자!
웃음은 NK세포를 생성한다.
웃음으로 병을 이겨내는 사람들이 있다. 웃음으로 생기는 엔돌핀이 병을 낫게 한다는 것이다. 웃음의 비밀에 대해서 알아보자. NK세포 (Natural Killer)는 것이 있다. 말 그대로 자연 살상 세포라고 불리는데 이 세포는 스스로 암세포나 해로운 바이러스 등을 찾아서 죽이는 역할을 하는 면역 세포이다. 웃을 때 바로 이 NK세포가 활성화 된다. 최근 NK세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서, 예전의 막연히 웃으면 몸에 좋다는 식에서 벗어나 과학적으로 증명이 되고 있다. 실험을 통해서 NK세포의 증가를 알아보았다. 코미디 프로를 보며 웃었던 사람에게는 NK세포가 무려 4~14 프로 까지 상승되었다고 발표한다. NK세포의 증가로 내 몸에서 스스로 암세포로부터 내 몸을 지키게 되는 것이다. 면역 세포가 증가는 예방 주사를 통해서도 가능한 일이지만 NK세포는 암세포를 적극적으로 찾아 죽이기 때문에 우리 몸에 놀라운 효과가 나타난다. 암세포를 죽이는 NK세포를 키우는 일은 웃음이 최고의 방법인 것이다.
웃음의 다양한 효과들을 알아보자
웃음으로 우리의 수명은 길어질 수가 있다. 하루에 15초만 웃어도 인간의 생명이 이틀이나 연장이 된다고 하고, 웃음 하나로 스트레스도 날려버린다.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NK세포 역시 줄어들게 될 뿐 아니라 암세포 역시 성장을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코티졸이라는 호르몬이 급격하게 올라가는데, 이 코티졸은 몸의 면역을 억제 시키고 감염을 일으키며, 인간의 기억력을 감퇴 시키는 안 좋은 역할로 작용을 한다.
웃음은 단순히 건강에 좋거나 즐거움만 주는 것이 아니라 웃는 것 자체가 하나의 운동이 된다고 한다. 인간은 웃을 때 몸속에 있는 근육 중에 200 여 개나 수축이 되고 몸의 신진대사가 잘 이루어진다. 웃을 때 심장의 박동 수가 상당히 증가 되는 것이 실험으로 증명이 되고 있다. 이 웃음은 정말로 웃기지 않고 억지로 웃는 것 만으로도 상당히 효과가 있다고 한다. 웃게 되면 벌어진 입으로 찬 공기가 대량 유입되기 때문에 머리의 온도도 낮아지게 되어서 뇌를 식혀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억지로 웃게 되어도 웃는 근육이 뇌에 전달이 되면서 마치 즐거운 일이 있는 것처럼 뇌가 착각을 하게 되어 엔돌핀이 생성된다고 한다.
과거에는 나라 일로 스트레스를 받는 임금님은 웃음내시라는 것이 존재했다고 한다. 웃음으로 활력과 생기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을 그때부터 알고 있었던 선조들의 지혜로 보인다. 요즈음은 웃음내시가 없더라도 TV나 영화 등 얼마든지 웃음거리를 찾아서 건강에 도움을 줄 수가 있다. 한국인들은 웃음에 너무 인색하다. 과거 어렵게 살아온 환경 탓도 있겠다. 하지만 동양 얼굴의 해부학 적 문제가 있다고 한다. 인간의 볼에는 볼굴대라고 하는 근육의 접점 부위가 있다. 서구 사람에게는 이 부위가 볼의 위쪽에 위치하여 웃을 때 활짝 웃을 수 있다고 하지만 동양에서는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웃을 때 다소 작게 느껴진다. 하지만 웃는 연습 만으로도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고 한다. 특히 입꼬리가 위로 올라가는 연습을 많이 하는 것이 관상으로 볼 때도 좋아서 인생을 바꿀 수 있다고 하니 당장 연습을 해야 할 것만 같다.
신이 인간에게만 준 특권인 웃음. 마음껏 웃어서 인간의 특권을 누리자!
생로병사의 비밀을 참고해서 웃음의 효과에 대한 글을 썼습니다.
'건강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을 끓여 먹으면 좋을까? 물의 효능과 마시는 법 2 탄 (0) | 2017.06.18 |
---|---|
공기의 구성과 역할, 산소, 음이온, 피톤치드, 미세먼지 (0) | 2017.06.17 |
햇빛의 위험, 자외선 어떻게 쬐어야 하는가? (0) | 2017.06.16 |
화병의 증상과 진단, 원인과 치료방법, 화를 다스리는 법 (0) | 2017.06.15 |
물은 우리 몸에 좋을까? 나쁠까? <엄지의 제왕> (0) | 2017.06.14 |
수험생에게 좋은 것 108배 절의 효과 (0) | 2017.06.12 |
설탕 건강에 해로운가? (0) | 2017.06.11 |
소금의 진실, 좋은가 나쁜가 (0) | 2017.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