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양지식

보통선거 뜻

보통선거 뜻?


사회적 신분.교육.재산.인종.신앙.성별 등에 의한 자격 요건의 제한 없이 일정 연령에 달한 모든 국민에게 원칙적으로 선거권을 인정하는 것. 제한 선거에 대응되는 말이다. 오늘날에는 보통선거가 선거의 기본 원칙으로 되어 있으나, 연혁적으로 보면 그 발달과 확립은 점진적이었고, 이 원칙이 전 세계적으로 완전히 확립된 것은 제 2차 세계대전 후의 일이다. 특히 재산 또는 성별에 의한 제한 선거가 철폐된 것은 최근의 일이다. 한국은 1948년 제헌헌법에서 보통선거를 채택했고, 현행에서도 대통령.국무의원 등의 모든 선거에서 보통선거를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의 권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통선거에서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런 권리를 실현하는 것이야 말로 민주주의의 진정한 의미로 보인다.


'교양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국민기초생활보장법) 뜻을 알아보자  (0) 2017.05.06
일베 뜻 자세히 알아보자  (0) 2017.05.05
햇볕정책 뜻  (0) 2017.05.04
희소성의 원칙  (0) 2017.05.03
레임덕 뜻을 알아보자  (0) 2017.05.02
녹색성장 뜻  (0) 2017.05.01
국회의 권한 알아봅시다  (0) 2017.04.29
국회선진화법 이란?  (0) 2017.04.28